▲ 김종진 시인

살아가면서 ‘범사에 감사하라’는 말만큼 실행하기 어려운 것도 없다. 평상시에 모든 일에 고마운 마음, 작은 일에도 고마워하는 마음을 갖는다는 것, 말처럼 쉽지 않다. 우리는 꼭 필요한 공기의 고마움에 대해 평소에는 잊고 산다. 이렇게 감사함을 언급할 때 그나마 다행히 ‘공기의 고마움’은 잠시 살아난다. 부모님의 고마움을 모르고 살다가 어버이날이 되면 새삼 부모님의 은혜를 생각하는 것도 같은 이치다. 물의 고마움도 모르고 살다가 수돗물이 나오지 않을 때 고마움을 느낀다. 왜 사람들은 불편해졌을 때 고마움을 느끼는가? 아무 이상 없는 자연스런 상태에서 항상 고마움을 느끼며 사는 것, 그것이 범사에 감사하는 일이다.

가난하기로 소문난 농부가 어느 날 랍비를 찾아와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저희 집은 성냥갑 만한데다가 새끼들은 주렁주렁 달렸고 마누라는 이 세상 둘도 없는 포악한 사람입니다. 가엾은 저는 어쩌면 좋습니까?” 라며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소원을 얘기했다. 랍비는 그에게 “염소를 집 안에서 키워보세요”라고 조언한다. 이해할 수 없는 랍비의 말을 따라 며칠을 살아보았지만 도저히 살 수가 없었다. 다시 랍비를 찾아가자 이번엔 닭을 같이 키워보라고 조언한다. 며칠 지나지 않아 다시 랍비를 찾아가 고통스러움에 화를 냈다. 흥분한 농부에게 랍비는 미소를 지으며 이야기한다. “그러면 염소와 닭을 내쫓고 살아보세요.” 그 말을 듣고 농부는 염소와 닭을 쫓아내고 청소를 했다. 그리고 방에 눕자 자기도 모르게 이런 말이 튀어나왔다. “이제야 사람 사는 것 같군!” 얼굴에는 기쁨이 넘쳤고, 마치 황금덩어리라도 얻은 듯 밝아보였다. 농부는 랍비를 찾아간다. 그리고 감사의 인사를 한다.

바뀐 것은 없다. 이 이야기에는 마음에 따라 똑같은 상황이 정반대로 이해될 수 있음을 가르쳐 준다. 탈무드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감사한 마음을 알기까지 힘들었던 과정을 말한 것이다. 염소도 닭도 집안에 없었을 때 가족의 감사함을 알았어야 했다. 불편한 여러 과정을 거쳐 나중에 알게 된 것이다. 그래도 그나마 다행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마움을 몰랐다면 불행은 계속되었을 것이다. 어리석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지금 감사하라. 작은 일에도 감사하라. 그럼 이런 어리석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을 것이다. 인생은 짧다.

존 밀러는 ‘그 사람이 얼마나 행복한가는 감사의 깊이에 달려 있다.’ 고 했다. 그리고 ‘감사는 최고의 항암제요, 해독제요, 방부제다.’라고도 했다. 행복한 사람들은 ‘고맙습니다.’ 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고마움을 항상 느끼고 표현하고 산다. 진정으로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간다면 행복의 웃음꽃은 저절로 피어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감사하는 마음은 금방 낡아 버린다’고 했다. 낡아지기 전에 그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 그래서 감사의 마음은 학습이 필요하고 복습이 필요한 것이다. 감사하는 마음은 새순처럼 새잎처럼 날마다 피어나는 새로움이어야 한다.

5월은 가정의 달이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성년의 날, 부부의 날 등 가족과 관계되는 날이 많은 달이다. 특히 부모님께 감사하는 마음은 나날이 새로워야 한다. 학생들에게 예절 교육을 시킬 때 빠뜨리지 않고 하는 수업, 감사장 쓰기이다. 비어있는 고급의 감사장을 채우는 아이들은 숙연해진다. 감사의 편지를 써라, 감사의 전화를 하라, 그것도 어려우면 감사의 메시지를 보내라. 부모가 할머니 할아버지께 하는 감사의 행동을 지켜보는 아이들은 크면서 부모를 그대로 보고 배울 것이다.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는 일, 지금 바로 실천하라고 권하고 싶다.

 

저작권자 © 뉴스포르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